배천조씨 대동세보 BCCHO
  • HOME
  • 대동세보
  • 개요

대동세보 배천조씨 대동세보.

우리 배천조씨 대동세보는 현존 족보로 가장 오래된 것이 숙종 42년(1716)에 발간된 병신보(丙申譜)라 하겠습니다. 그에 앞서 중봉집(조헌趙憲)에 의하면 은천보(銀川譜)가 있었음이 분명하나 후세에 전해지지 못한 것은 참으로 애석한 일입니다.


 배천조씨 대동세보는 역사입니다.

1), 종중회 발간

 제1회 병신보, 肅宗42年 (1716) 목판 3권  608면, 丙申 仲秋上浣

 제2회 기묘보, 英祖35年 (1759)   목판 4권  782면, 己卯 冬10月

 제3회 경자보, 正祖4年  (1780)   목판 5권 1058면, 辛丑(1781)閏 5月下澣

 제4회 갑자보, 純祖4年  (1804)   목판 6권 1424면, 甲子 季春下浣

 제5회 경술보, 哲宗元年 (1850)   목판 9권 1712면, 庚戌 季秋(9月)上浣

 제6회 경진보, 고종17년 (1880)   목판13권 2070면, 庚辰 季冬下澣

 제7회 계묘보, 고종광무7년(1903) 목판13권 2098면, 癸卯 9月下澣

 제8회 계해보, 왜정14년(1923)    목판18권 2848면, 癸亥 仲冬下澣

2), 대종회 발간

 제9회 정유보(丁酉譜) (1957) 양장제책 1권 1질 100질 현대판인쇄1122면

 제10회 무오보(戊午譜) (1978년) 제책 6권1질 4224면 (증보판 포함)

 제11회 갑술보(甲戌譜) (1994년) 제책 7권1질 6841면 (수정보 별도)

제12회 임인보(壬寅譜) (2022년) 제책 8권


 참고로 우리나라의 족보간행의 시초가 1476년 성종연대에 안동권씨(安東權氏)(成化譜)의 족보라고 하는데, 이때는 어느 정도 문중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때이었을 것입니다. 그후 임진왜란(1592)이란 미증유의 전란 때문에 많은 문헌들이 소실되었고, 또한 병자호란(1636)이 있었고, 하여 1675년 숙종연대 이후에야 다시 족보 간행이 일반화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1910년부터 일본 정치 하에서 이민족의 지배 때문에 동족결합에 한층 더 쏠리게 되어 일가일문의 기록을 존중하는 것을 휠씬 더 중대하게 여겼을 것입니다.


e-book_wdc